세로티스, 로봇 안전 기술 뉴스레터 님, 안녕하세요! 세이프틱스가 전하는 로봇 이야기, 세로티스입니다.
4월에 왔던 봄이 빠르게 지나가고 어느덧 여름이 바짝 다가온 느낌이에요! 5월 가정의 달, 모두에게 즐거운 일만 가득하기를 바라며, 오늘은 산업 자동화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르는 움직이는 로봇 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에 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왔어요.
시장에 쏟아지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기술부터 실제 활용 사례까지 천천히 살펴보아요! |
|
|
01. 메인 뉴스
💡 움직이는 로봇 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인가? |
|
|
Boston Dynamics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Stretch |
AGILE ROBTS가 BMW자회사였던 idealworks와
제작중인 커스텀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
|
|
더 이상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는 로봇 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이 기술이 단순 데모용이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을 바꾸는 중이라는 거 아셨나요? 특히 작년 11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위한 국내 KS표준이 제정되면서, 이제는 기술+시장+제도까지 갖춰져 진짜 '현실화 국면'에 들어서고 있는 분위기예요.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란?
쉽게 말해 이동형 로봇(AMR) 위에 로봇 팔(Manipulator)이 올라간 형태예요. 이동하면서 작업도 가능한 차세대 자동화 솔루션이죠. 이전까지는 사람이 컨베이어로 오거나, 로봇이 정해진 위치에서 반복 작업을 수행했는데요, 이제는 로봇 팔이 직접 물건을 찾아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픽킹/정렬/이송까지 한 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죠.
🏭 산업 현장에 등장하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 Boston Dynamics - Stretch
✅ Collaborative Robotics - Proxie
미국 로봇 스타트업인 Collaborative Robotics는 물류창고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Proxie를 발표했어요. Moderna, Owens & Minor, Tampa General Hospital 등의 고객사와 시범운영 중임을 밝혔죠.
✅ KUKA AG - KMR iiwa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미르 - MC600
이 밖에도 아마존은 Proteus 프로젝트를 통해 물류로봇 강화에 나서고 있어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한 단계 뛰어넘은 2족 보행 로봇 Digit을 도입해 테스트하며 로봇이 움직이면서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스마트한 현장을 만들어 나가고 있죠.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KS 표준 제정
그리고 작년 11월, 드디어 KS B 7327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표준이 처음으로 제정되었어요.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기술이 현장에서 활용할 만큼 발전했다는 것과 시장에서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합쳐진 결과 실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표준까지 논의된 것으로 볼 수 있지요. 실제 산업 도입을 위한 퍼즐이 맞춰진 셈이에요!
🔎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
▶️ 점점 더 복잡해지는 물류 & 제조 현장
▶️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한 대응력 필요
▶️ AI비전, SLAM, 로봇 OS기술 발전으로 인한 기술적 진입장벽 하락
▶️ KS표준이 제정되며 안전 표준까지 갖춰지고 있는 상황!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는 이제 단순히 멋진 기술이 아니라 실제로 ROI를 올리는 자동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안전을 위한 KS표준도 제정된만큼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험성평가와 같은 안전 조치를 꼭 취해야 해요! 현장의 ROI를 높이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에 대한 규제가 궁금하다면 언제든 세이프틱스에 문의해 주세요!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KS표준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
|
|
|
02. 세미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생산성 확보 전략 |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도입을 위한 KS표준 설명과 위험성평가 방법 안내부터 실제 현장 사례까지!
모바일 매니퓰레이터가 많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세이프틱스에도 많은 현장에서 안전 규제 관련 문의를 주셨는데요, 이런 현장의 고민을 해결하고자 세이프틱스가 로봇 SI 및 로봇 사용 기업을 위한 세미나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아래 내용을 주로 다루어요.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KS표준의 핵심
▶️ 규제 대응을 위한 충돌 위험분석 및 위험성평가의 구체적인 방법
▶️ 실제 도입 사례와 노하우
이번 세미나에는 세이프틱스뿐만 아니라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시장을 이끄는 여러 Special Speaker분들을 모셨어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자리이니,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활용중이거나, 도입을 고민 중이시라면 꼭 참석하여 소중한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원활한 운영을 위해 본 세미나는 사전 등록자에 한해 참석하실 수 있사오니, 지금 바로 등록하고, 핵심 전략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
✅ 장소: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2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 일시: 2025년 5월 27일(화) 13:00 - 16:40 |
|
|
03. 로봇 콘텐츠
자율주행로봇, 어디까지 쓰일까? |
|
|
서브로보틱스x우버이츠가 LA 코리안타운으로 배달 사업을 확장했단 소식을 전했습니다.
미국 전역으로 서비스 확장을 위한 장기 전략 가운데 하나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호텔 서비스, 공항 음식 픽업, 캠퍼스 내 배달 등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심심찮게 자율주행로봇을 만나 볼 수 있죠. 성큼 우리 생활로 들어온 자율주행로봇에 대해 알아보고, 함께 미래를 준비해 봐요!
|
|
|
04. SafetyDesigner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동시동작도 안전하게! |
|
|
2024년 이동형 머니퓰레이터(이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관련 안전 표준인 "산업용 이동 머니퓰레이터의 응용을 위한 안전 요구사항 (KS B 7327)"이 제정되었어요.
기존에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은 동시 동작에 대한 안전 표준이 없다는 점이었을 텐데요. 지난해 KS B 7327 표준이 제정되면서 이 표준에 동시 동작에 대한 안전한 구동 방법이 명시되었어요. 🤗
표준에서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동시 동작을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어요.
✅ 감응식 보호장치(위험을 감지해 자동으로 멈추는 보호장치)를 사용하여 사람과의 충돌 회피
✅ 접촉을 피할 수 없는 경우 접촉으로 인한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기능 사용
SafetyDesigner에서는 접촉으로 인한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기능인 동시 동작 충돌 안전 분석 및 보고서 발급 기능을 제공해요!
SafetyDesigner로 구현하는 방법을 가볍게 알아볼까요? |
|
|
1️⃣ 먼저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이동 플랫폼과 협동로봇을 각각 선택하고, 결합하여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만들어요.
2️⃣ 다음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를 설정해요.
3️⃣ 가장 중요한 순서인데요, 사람과 충돌 예상되는 구간을 선택한 후 각 구간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해요. |
|
|
4️⃣ 설정한 구간별로 충돌 안전 분석을 통해 도출된 CRI값(Collision Risk Index)으로 위험 구간과 안전 구간을 확인해요.
(* CRI: 협동로봇과 사람이 충돌했을 때 얼마나 위험한가를 나타내는 지표. 1을 초과하면 위험, 1이하면 안전하다고 판단)
5️⃣ 위험한 구간에서는 SafetyDesigner가 안전 속도를 추천하고, 안전한 구간에서는 최대 생산성을 낼 수 있는 속도를 추천해 줄 거예요. 상황에 맞게 속도를 수정하고 다시 분석해 볼 수도 있어요. |
|
|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충돌 안전 분석 보고서 샘플 |
|
|
동시 동작이 안전함을 확인한 후 충돌 안전 보고서를 발급받아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안전 인증에 활용하실 수 있어요!
이제 SafetyDesigner와 함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공정을 설계해 보세요! |
|
|
05. 지원 사업
#SW진단개선사업 #KEPCO에너지신기술 #지식재산긴급지원 |
|
|
[전액무료] 디지털 인프라(SW) 진단 및 개선 사업 수요기업(기관) 모집 바로가기
[사업화자금 3천만 원] KEPCO 에너지 신기술 사업화 대전 참가기업 모집 바로가기
[2천만 원 지원] [광주] 2025년 2차 지식재산 긴급지원 사업 모집 바로가기
[최대 2억 원 지원] [서울] 2025년 보증연계 R&D 지원사업 바로가기
[원스톱 수출, 수주지원단] 수출 지원 프로그램 안내(상시) 바로가기 |
|
|
06. 간추리 뉴스
#2세대협동로봇 #비정형객체인식AI로봇 #월드IT쇼2025 #농업로봇 |
|
|
1. 뉴로메카, AI기반 ‘2세대 협동로봇’ 공개
뉴로메카가 ‘2025 월드IT쇼’에서 AI 기반 2세대 협동로봇을 최초 공개했다. 이번 로봇은 실시간 충돌 회피, AI 학습형 교시, 상황 인식 기능을 갖춰 사람의 제스처를 모방하고 작업을 학습할 수 있다. 이는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의 핵심 기술로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사 바로가기
2. 유온로보틱스, '국제물류 산업대전'에 비정형 객체 인식 AI 로봇 선보여
유온로보틱스가 ‘국제물류 산업대전(KOREA MAT 2025)’에서 AI 기반 오더피킹 시스템과 AMR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일정하지 않은 형태의 상품을 인식·처리할 수 있어 물류 자동화의 고도화에 적합하다. 현재 성주 참외 포장 공정에 PoC를 적용해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으며, 농식품부 주관 스마트 애그리텍 창업 지원사업에도 선정돼 기술사업화 및 글로벌화를 추진 중이다. 기사 바로가기
3. [WIS 2025] AI, 미디어·산업·모빌리티·로봇과 융합…생산성 극대화
‘2025 월드IT쇼’에서는 AI와 IoT, XR, 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된 스타트업들의 혁신 제품이 대거 공개됐다. 물류 자동화 분야에 와따에이아이가 재고실사 로봇을 통해 비용 절감과 디지털트윈 구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한편, 뉴로메카와 세오로보틱스 등은 실제 산업 현장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로봇의 생산성과 실용성을 부각시켰으며, 블록체인과 양자기술 기반 보안 솔루션도 기술적 진보를 알렸다. 기사 바로가기
4. 농업로봇 통합관리 기술 첫 공개…스마트팜 완전 자동화 시동
농촌진흥청이 방제·운반·모니터링 로봇을 통합 제어하는 세계 최초 스마트팜 기술을 공개하고, 올해 강원·충청 지역에서 시범 실증에 나선다. 해당 기술은 로봇 간 간섭 없이 협업이 가능하며, KS 제정과 민간 협의체 운영으로 산업표준화도 병행 중이다. 높은 장비 가격 등 보급 과제를 안고 있지만, 수출과 양산을 통해 경제성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기사 바로가기 |
|
|
🔎 보호 정지(Protective Stop)란?
보호 정지는 로봇과 로봇 시스템에 포함된 기계류가 사전에 설계된 위험 상황에 도달하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동작을 중단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주로, 이 기능을 통해 작업자가 로봇 작업공간 중 위험 영역으로 접근할 때 안전 매트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해 발동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거나, 시스템 점검을 위해 네 면이 펜스로 가두어진 셀 내로 접근 시, 인터락 장치가 설치된 연동식 가드가 개방되면 보호 정지 신호에 의해 로봇 시스템이 동작을 중단하게 됩니다.
|
|
|
로봇 사용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모두 잡을 수 있도록,
세이프틱스가 도와드릴게요. |
|
|
더 보고 싶은 콘텐츠가 있으신가요? 세로티스에 바라는 점, 세이프틱스에 궁금한 점 등을 편하게 남겨주시면 빠르게 답변해 드릴게요! 세로티스를 향한 응원도 환영합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