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티스, 로봇 안전 기술 뉴스레터 님, 안녕하세요! 세이프틱스가 전하는 로봇 이야기, 세로티스입니다.
3월 마지막 주 꽃샘추위를 지나서 4월이 되고, 진짜 봄이 다가오고 있어요! 3월에는 AW2025 자동화 산업전이라는 큰 행사가 있었는데요. 넓은 전시장에 놀라운 기술들이 정말 많이 전시되어 있었어요. 저도 정신없이 둘러보느라 다음날 몸살이 날 정도였답니다.😂 오늘 뉴스레터는 AW2025에서 발표된 신기술과 주목받은 회사들을 총망라해 보았어요! 오늘도 새롭고 유익한 세로티스 뉴스 함께 살펴보아요! |
|
|
01. 메인 뉴스
🔎 로봇과 공장 자동화의 미래를 엿보다, AW2025 |
|
|
AW2025에서 Stretch를 시연하는 현대글로비스 |
|
|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W2025에서는 제조업과 물류 혁신을 주도할 로봇과 자동화 기술들이 대거 공개되었어요. 시간이 안 되어 가지 못한 분들, 너무 넓어서 전체를 둘러보지 못했던 분들을 위해 세로티스가 AW2025에서 큰 관심을 받은 기술과 기업들을 깔끔하게 소개해 드릴게요!
🔥 하이라이트 기술
✅ 자율 이동 로봇(AMR)의 진화
기존 AGV보다 유연한 경로 설정과 빠른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AMR이 등장했고,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서 협동 로봇, 자율주행 이동 장비, AI 등이 결합된 스마트 제조 환경을 엿볼 수 있었어요. 특히 현대 글로비스는 보스턴다이나믹스가 개발한 물류 로봇 '스트레치(Stretch)'를 아시아 최초로 시연하며 시선을 끌었어요.
✅ 협동로봇의 스마트화
더욱 정교한 센서와 AI 학습을 통해 작업 정밀도가 향상되었어요. 유니버설 로봇은 AI 기반의 협동로봇 솔루션을 시연하여 다양한 크기와 무게의 박스를 인식하고 최적의 물류 적재 패턴을 스스로 분석해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선보였어요.
✅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
클라우드 기반 공장 운영 시스템과 로봇의 연계가 강화되었어요. 현대오토에버는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 솔루션인 '네오팩토리(NEO Factory)'를 공개했어요. 이 솔루션은 제조 현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해요. 또한, 생산 능력과 생산 자본의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 제조 공장 및 SDF 체계를 실현하는 스마트 팩토리 지능형 솔루션이라고 해요.
➖
🌟 주목받은 기업들
유니버설 로봇은 AI 기반 물체 인식과 적응형 작업 수행이 가능한 'UR AI 엑셀러레이터'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어요. 협동로봇에 머신 러닝과 컴퓨터 비전 기능을 통합해서 보다 지능적인 작업 수행을 돕는다고 해요.
에이딘로보틱스는 자체 개발한 힘 센서를 탑재한 '인간형 로봇 핸드'를 공개했어요. 인간의 손에 준하는 감각적이고 섬세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어요.
유진로봇은 1.5톤까지 적재할 수 있는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1500'을 공개하며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어요.
뉴로메카는 초경량 용접 특화 협동로봇 '옵티3'을 상반기 중 출시할 계획이라고 해요. '옵티3'은 일반 작업자가 손으로 들고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졌고, 곡블록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도 손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어요.
푸른기술은 최대 40kg의 중량을 다룰 수 있는 협동로봇 'SYMPHONY-40을 공개하여, 고중량 물체를 다루는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하는 기술을 선보였어요.
AW2025를 통해 본 로봇 산업의 방향은 ‘더 똑똑하고 유연한 협업’이었어요. 앞으로의 로봇 트렌드와 기업 도입 전략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다음 뉴스레터도 기대해 주세요! 😆🚀
|
|
|
02. 박람회
2025 국제 로봇 안전 표준 교육 |
|
|
효율적인 로봇 활용을 위해 알아야 할 안전 기준을 배울 수 있는 국제 로봇 표준 안전 교육💡
로봇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현장의 안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이프월드엔지니어링에서 국제 로봇 표준 안전 교육을 진행합니다. 고정형 로봇의 안전 기준부터 로봇 기능별 안전 기준, 이동형 로봇 안전 기준까지 안전 관련 규격과 기준을 한 번에 알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요!
특히, 오후 1시부터 세이프틱스의 임정호 기술가치팀 팀장이 '국내외 표준 기반 고정식 & 이동식 로봇의 안전 조치 사례 및 위험성 평가'에 대해 발표하오니 로봇 시스템의 안전 조치 실제 사례와 위험성 평가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5월 9일에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만나요!
✅ 장소: 수원 컨벤션센터(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855-2)
✅ 일시: 2025년 5월 9일(금) 10:00 - 17:00 |
|
|
엔비디아의 CEO인 젠슨 황이 CES2025 기조연설에서 '물리적 AI'의 시대를 언급하며 휴머노이드의 발전과 로봇의 시대를 예견해 큰 화제가 되었죠.
컴퓨텍스 2024에 이어 CES2025에서까지 휴머노이드의 시대를 강조한 젠슨황, 로봇은 인공지능이라는 두뇌를, 인공지능은 로봇이라는 신체를 갖게 되는 것일까요?
물리적 이해를 동반한 AI와 사람과 감정적으로도 소통 가능한 로봇, 곧 자동차처럼 쉽게 만나게 될지도 모르겠어요!
|
|
|
04. SafetyDesigner
안전이 생산성을 주도한다! |
|
|
안전을 고려하면 반드시 생산성이 낮아질까요?
결론은 그렇지 않습니다.
특히, 로봇과 사람이 협력하며 작업하는 로봇 시스템(Human Robot Collaboration)의 경우에는 생산성과 안전성 모두 매우 중요하죠. SafetyDesigner에서는 ‘안전 분석 추천’ 기능을 활용하여 안전한 속도 범위 안에서 로봇 시스템의 최대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어요. |
|
|
3D화면에 로봇의 모션을 설계하거나 현장의 실제 로봇 모션 파일을 업로드 한 뒤, 안전 분석 추천 모드로 충돌안전분석을 실행해 보세요.
ISO TS 15066 또는 KOROS 1162-1 표준에서 제시하는 신체 부위별 힘/압력 허용 표준을 기반으로 1)위험한 구간에서 속도를 낮추고 2)안전한 구간에서 속도를 높여 안전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고려한 속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 |
|
|
추천된 속도 값은 ‘추천결과 적용하기 버튼 클릭’으로 3D시뮬레이션 공간에 바로 반영하고 Cycle time을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어 간편해요.
|
|
|
이제 SafetyDesigner와 함께 생산성과 안전성을 다 잡은 협동 운전 로봇 시스템(Human Robot Collaboration)을 설계해 보세요! 가입 시 누구나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
|
|
05. 지원 사업
#SW진단개선사업 #로봇활용제조혁신 #서울형R&D지원 |
|
|
[전액무료] 디지털 인프라(SW) 진단 및 개선 사업 수요기업(기관) 모집 바로가기
[최대 2.5억 원 지원] 2025년 로봇 활용 제조 혁신 지원사업 바로가기
[최대 2억 원 지원] 1차 테스트베드 실증 지원사업(서울형 R&D 지원사업) 바로가기
[기술규제 해결] 2025년 기술규제 기업애로 수요 조사 바로가기
[원스톱 수출, 수주지원단] 수출 지원 프로그램 안내(상시) 바로가기 |
|
|
06. 간추리 뉴스
#첨단제조로봇실증사업 #엑사원딥 #아이작그루트 #3D모바일셔틀 |
|
|
1. 산업체 로봇 도입 돕는다… 사업당 최대 10억 원까지 지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2025년 첨단제조로봇 실증사업’ 설명회를 열고, 총 125억 원 규모의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제조로봇 활용 기술 확산을 목표로 민간·공공·수출 지원형 사업을 추진하며, 최대 10억 원까지 국비 지원이 가능하다. 기업 및 기관은 4월 10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서면 및 대면 평가를 거쳐 7월 전에 최종 선정될 예정이다. 기사 바로가기
2. LG AI 연구원, 추론 AI ‘엑사원 딥’ 오픈소스로 공개
LG AI 연구원이 추론 AI 모델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미국·중국 기업들과 경쟁할 국내 첫 추론 AI 모델을 선보였다. ‘엑사원 딥-32B’는 수학, 과학, 코딩 등 전문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기록했으며, 수능 수학 1등급과 박사 수준의 과학 추론 능력을 입증했다. 또한, 경량 모델과 온디바이스 모델도 함께 공개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며, 온디바이스 AI 시장을 주도해 나갈 방침이다. 기사 바로가기
3. 엔비디아, 휴머노이드용 '아이작 그루트 N1' 모델 오픈 소스 출시
엔비디아가 ‘GTC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 ‘아이작 그루트 N1’을 포함한 오픈 소스 기술들을 공개했다. 이 모델은 인간의 사고방식을 모방한 이중 시스템 아키텍처를 적용해 다양한 산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합성 데이터 생성 도구 ‘아이작 그루트 블루프린트’와 물리 엔진 ‘뉴턴’도 함께 발표해 로봇 학습을 가속화했다. 이를 통해 로봇 개발 비용 절감 및 속도 향상이 기대되며, 엔비디아는 2025년 하반기 뉴턴의 초기 오픈 소스 버전을 공개할 계획이다. 기사 바로가기
4. LG CNS, 창고 자동화 로봇 ‘3D 모바일 셔틀’로 글로벌 공략
LG CNS가 ‘프로맷 2025’에서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 ‘3D 모바일 셔틀’과 스마트물류 솔루션을 공개하며 북미 물류자동화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3D 모바일 셔틀’은 상하좌우 네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일반 화물뿐만 아니라 원통형 화물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물류자동화 설비와 로봇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물류 솔루션을 통해 물류창고의 무중단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사 바로가기 |
|
|
🔎 협동운전(Collarborative Operation)이란?
협동운전이란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용 로봇 시스템이 정해진 구역 내에서 작업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최대영역 내 제한영역이 존재하고, 제한영역 내 운전영역이 존재, 운전영역 내 협동영역이 존재합니다. 기존의 산업용 로봇 시스템은 안전을 위해 셀의 네 면에 펜스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막았던 반면, 협동로봇 시스템은 작업자가 작동 중인 공정 내부로 접근하여 개입이 가능해졌습니다.
|
|
|
로봇 사용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모두 잡을 수 있도록,
세이프틱스가 도와드릴게요. |
|
|
더 보고 싶은 콘텐츠가 있으신가요? 세로티스에 바라는 점, 세이프틱스에 궁금한 점 등을 편하게 남겨주시면 빠르게 답변해 드릴게요! 세로티스를 향한 응원도 환영합니다! 🤗 |
|
|
|